본문 바로가기

영어

자꾸 헛갈리는 ‘marry’와 ‘marry with’

728x90

자꾸 헛갈리는 ‘marry’와  ‘marry with’

  영어를 상당기간 배운 사람들의 경우에도 ‘Samuel married with a Nigerian woman in Korea last year’처럼 marry with’.처럼 잘못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사무엘은 작년에 나이지리아의 한 여성 결혼했어처럼 우리 말의 ’ 가 자연스럽게 with로 떠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문법적으로 얘기하면, marry직접 목적어하는 동사이므로 목적어 앞에 전치사구를 취하지 못한다. I marry with her와 같은 문장은 성립이 안 된다는 말이다.  영어 사전에도 marry()결혼하다라고 기술되어있기 때문에 'with'없이 She married a German(그녀는 독일 사람 결혼했다)처럼 쓰는 것이다.

 

 그러면 ‘I marry with her’라는 문장도 원어민들은 엄연히 사용하고 있데 이때는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나와 그녀가 같은 장소에서 함께 각각의 결혼 상대와 결혼한다는 뜻이다. 즉 나는 에이미하고 결혼하고 그녀는 톰하고 각각 같은 장소에서 결혼하는 경우인 것이다.

 

참고로 하나 더 알아두자.

marry가 수동태로 쓰게 되면 난데없이 아래와 같이 to가 수반된다.

ㆍI married her.I was married to her.

일단 be married to’‘~에게 결혼하다로 암기해 버리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하겠다.

 

왜 그럴까?

이해를 돕기 위해 marry 由來 수동태 意味 變化에 대해 추측해보자.

생활 풍습과 문화를 기독교에 근간을 두었던 영어권 국가에서는 원래 결혼은,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이브를 정해주었듯이 하나님이 정해준 배필과 한다는 것이 기본 결혼 관념이었고 이는 곧 하나님의 뜻을 따라 부모님이 정해준 사람과 한다는 것이 동서고금을 막론한 인류의 공통된 결혼에 대한 인식과 풍습으로 이어졌을 것이다. 필자가 어렸을 때만해도 시골에서 보면, 연애는 생각도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결혼은 당연히 양가 부모님들이 정하여 성사시키는 것이었다. 그래서 우리 부모세대만 하더라도 결혼식 당일에야 식을 올릴 때 맞절을 하면서 비로소 서로를 처음 보게 되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요즘 세상에서는 말도 안 되는 일이지만 말이다.

그래서 marry 원래 뜻은 부모가 자식을 누구누구에게 결혼시키다이고 영어사전에도 ‘ (특히 아들·딸을) (~에게) 결혼시키다[장가·시집보내다]’로 되어 있다.

He married his daughter this year(그는 올해에 딸을 결혼시켰다).

 

이제 수동태로 가보자.

ㆍTom married his son to her( 탐은 그의 아들을 그녀에게 결혼시켰다)  이  문장을 목적어his son주어로 해서 쓰면, ‘His son was married to her’라는 수동태 문장이 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be married to’ ~와 결혼하다는 뉘앙스로 쓰였고 그러다보니 결국에는 능동태와 수동태가 의미상으로는 같은 의미가 된 것이다.

고로 be married to’는 더이상 수동태가 아니다. 'married' 는 'be'의 보어이고 'to'는 목적지로 즉 그녀에게로 향하는 뉘앙스의 전치사이니, 직역하면  '그의 아들은 결혼(상태)이다 그녀에게로' 의역하면 '그의 아들은 그녀와 결혼했다'가 되는 것이다.

참고(차이)

 be married : 기혼인 상태의(기혼인 상태를 나타낼 때 사용)

     A:  Are you married or not? 너 결혼 한 거야 안한 거야?

     B: Hey, are you saying something? Of course I'm married. , 말이라고 하냐? 당연히 결혼했지.

 get married : 결혼하다(행위에 중점을 둔 표현, get이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로서 결혼하는 변화에 중점을 둠)

     A: I didn't know. When did you get married? 몰랐네. 언제 결혼했어?

     B: I got married last year. 작년에 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