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in과 get on, get out과 get off의 차이는?
차나 기차 등의 교통수단을 타고 내리는 것과 관련한 말을 할 때에 get in과 get on, get out과 get off을 혼용해서 잘못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는데, 표현의 사용처가 각각 분명히 구분되고 있다. 그러면 차이는 무엇일까?
다음의 각각의 두 문장 중에서 옳은 표현은 어느 쪽일까?
1. I urged him to get in the taxi quickly, saying it was late.
2. I urged him to get on the taxi quickly, saying it was late.
(시간이 늦었다며 빨리 택시에 타라고 재촉했다)
1. We got on the subway in Incheon early in the morning to go to Cheonan.
2. We got in the subway in Incheon early in the morning to go to Cheonan.
(천안으로 가기 위해 이른 아침에 인천에서 지하철을 탔다)
1. The driver said we arrived at our destination, so we got out of the taxi.
2. The driver said we arrived at our destination, so we got off of the taxi.
(택시기사가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해서 우린 택시에서 내렸다)
1. We arrived on the island and got off the ship.
2. We arrived on the island and got out the ship.
(그 섬에 도착하여 배에서 내렸다)
대부분의 문법책이나 영어설명서 등에서 보면, get in과 get out은 택시처럼 좁거나 작은 교통수단에서의 타고 내림을 표현할 때 사용하고 get on, get off는 기차나, 비행기 등과 같이 넓고 큰 교통수단의 경우에서 사용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실제 말로 표현할 때는 헛갈리는 경우가 많다. 이는 각 어구에 대한 체감이 없이 외워서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 위 어구를 암기가 아닌 몸으로 체감하여 익힘으로써 사용에 헛갈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get in
전치사 in은 ‘밖에서 벽 등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나 공간 안으로 이동’하는 느낌이고, 눈 등의 육감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정도로 구성된 벽과 울타리의 안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규모는 대체적으로 작은 영역과 공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위 두 단어가 합쳐져서 나타내는 느낌은 벽과 울타리 등으로 둘러싸인 일정한 영역과 공간 밖에서 그 안으로 이동하는 즉 들어가는 느낌을 나타낸다. 따라서 택시나 또는 회의장 등의 안으로 들어갈 때에 사용한다. 이때 들어가는 느낌은 먼저 머리부터 숙이며 좁은 공간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을 가지면 체감에 도움이 되겠다.
택시와 같이 좁은 교통수단을 탄다고 표현할 때에는 머리를 숙이고 몸을 움츠려서 택시 안으로 들어가는 느낌을 이 get in으로 체득하면 되겠다. 그리고 들어가면 내가 앉을 자리가 반드시 있는 교통수단이면 get in을 사용하는 것으로 습득하면 더욱 빨리 어감을 체득하고 사용에 헛갈림이 없겠다.
get on
‘위에 붙어 있다’는 표현은 어떤 물체가 그 물체보다 월등히 넓은 영역이나 공간 위에 있을 때에 어울리는 표현인데, 전치사 on은 바로 그 무언가의 ‘위에 붙어 있는’ 느낌에 초점을 두고 있는 단어이다.
그래서 in이 벽이나 울타리가 있는 영역과 공간을 전제하고 거기에 초점을 맞추는 느낌인 반면에, on은 어떤 공간이나 영역 안에 있다는 느낌을 차치물론하고 그냥 어떤 물체가 그 물체에 비해 월등히 큰 어떤 것 ‘위에 접촉하여 붙어있는’ 느낌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배를 처음 만들어 이용하던 때에는 여객선도 벽 등으로 둘러싸인 방 등이 없어서 사람들이 그냥 배의 board위에 올라타 서서 이용했을 것이다. 이때에 배를 탄다는 표현은 들어간다는 느낌이 아니라 올라탄다는 느낌이었기 때문에 배를 탄다고 표현할 때에 on을 사용했을 것이다.
그래서 기차나 비행기처럼 큰 교통수단에서도 들어간다는 느낌보다는 올라탄다는 느낌이 강하여 on을 사용하게 된 것일 것이다.
따라서 get on은 기차, 전철이나 비행기, 배 등의 넓은 board 위에 올라타는 느낌일 때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에 “Shall we get on a taxi instead of taking a bus?”(버스를 타지 말고 택시를 탈까?)라고 get in을 사용하지 않고 get on으로 말했다면 아마 원어민은 속으로 “지금 택시 지붕 위에 앉아서 가자는 건가?”라고 어리둥절해 할 것이다. 즉 get on을 사용한 의미는 벽이나 울타리가 있는 어떤 ‘작은 공간’ 등에 중점을 둔 말이 아니라, 다소 넓은 어떤 것의 ‘위에 붙어서’라는 것에 중점을 두고 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get in이 내가 앉을 자리가 확보되는 택시 등을 탈 때에 쓰는 표현인 반면에 get on은 타도 앉을 자리가 확보되지 않는 기차나 선박 등을 탈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기억하면 편하겠다.
get out, get off
out은 벽과 울타리 안에서 밖으로 이동하는 느낌이고, off는 ‘붙어 있다가 분리’되는 느낌이이다. 그러니까 분리라는 말은 안에 있다가 밖으로 나오는 느낌이 아닌 어떤 큰 것에 붙어있던 작은 것이 떨어져 나가는 의미이니, 역시 올라탔던 큰 공간에서 내린다는 느낌과 통하는 말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get out은 get in과 대조되어 작은 공간에서 나오고 내리는 느낌으로 사용하는 표현이고, get off는 get on과 대조되어 넓은 공간에서 나오고 내리는 느낌으로 사용하는 표현이 되겠다.
그러므로 위 예문들에서 옳은 표현은 각 1번이라는 것을 여러분도 쉬이 알 것이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s more of a fifth date kind of revelation. (0) | 2023.05.08 |
---|---|
" talent", 무슨 말이죠? (0) | 2023.04.21 |
And I just want a million dollars! (0) | 2023.03.28 |
'How have you been?'에 답했는데 외국친구의 표정이 이상해요! (0) | 2023.03.27 |
자꾸 헛갈리는 ‘marry’와 ‘marry with’ (0) | 2023.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