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낭중지추〔 囊中之錐 〕

728x90

囊中之錐 주머니 낭,  가운데 중,  갈 지,  송곳 추

 

주머니 속에 있는 송곳이란 뜻으로, 송곳 끝이 뾰쪽하여 주머니 천을 뚫고 주머니 밖으로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처럼 재능(才能)이 아주 빼어난 사람은 숨어 있을지라도 결국 절로 남의 눈에 드러난다는 비유적(比喩的) 의미(意味)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 조나라(--)의 평원군(平原君) 조승(趙勝)은 혜문왕(惠文王)의 동생이므로, 조나라(--) 公子의 한 사람이다 그는 손님들을 좋아하여, 전국에서 그에게 몰려온 손님이 수 천 명에 달했다고 한다. 당시는 조나라(--)에 맹상군(孟嘗君), 위나라(--)에 신능군(信陵君), 초나라(--)에 춘신군(春申君)과 같이, 서로 경쟁하여 선비들을 초대하여 후하게 대우하던 시대였다.

 

전국시대(戰國時代) 말엽(末葉), 진나라(--)의 공격(功擊)을 받은 조나라(--) 가 도읍 한단(邯鄲)까지 포위당하자, 이에 혜문왕(惠文王)은 동생이자 재상(宰相)인 평원군(平原君)을 초나라(--)에 보내어 구원군(救援軍)을 청()하기로 했다.

 

그리하여 평원군은 식객 중에서 함께 갈 용기와 문무의 덕을 겸비한 수행원 20명을 선발하기로 하여 뽑아나가는데 19명까지는 선발했지만 나머지 한 명을 채울 마땅한 사람이 없어 고심(苦心)하고 있었다. 이때 식객 중에 모수(毛遂)라는 사람이 평원군(平原君) 앞에 나서서, 자신도 수행원으로 데려가 달라고 말했다. 그래서 평원군이 물었다.

선생은 우리 집에 와서 머무신 지가 몇 해나 되었습니까?

이제 3년이 되었습니다.

평원군(平原君)은 어이없어 하며, 재능(才能)이 뛰어난 사람은 마치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나오듯이 남의 눈에 드러나는 법인데, 내 집에 온 지 3년이나 되었다는 그대는 단 한 번도 이름이 드러난 일이 없지 않소? 이는 그대에게는 남의 눈에 띌만한 능력이 없다는 뜻으로 봐야하지 않겠소?하고 반문(反問)했다.

그러자 모수(毛遂), 나리께서 이제까지 저를 단 한 번도 나리의 주머니 속에 넣어 주시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좀 더 일찍 넣어주셨더라면 저의 송곳 끝은 물론이거니와 송곳의 자루까지도 이미 나와 있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 처음으로  주머니 속에 넣어달라고 요청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번에 저를 주머니 속에 넣어 주신다면 제 능력을 드러내 보이겠습니다.하고 재치(才致) 있게 답변(答辯) 했다.

 

이에 만족(滿足)한 평원군(平原君)은 모수(毛遂)20번째의 수행원(遂行員)으로 뽑았고, 초나라(--)에 도착(到着)한 평원군(平原君)은 모수(毛遂)의 뛰어난 활약(活躍) 덕분(德分)으로 국빈(國賓)의 환대(歡待)까지 받고, 구원군(救援軍)도 얻을 수 있었다고 한다.

 

평원군(平原君)囊中之錐라는 말도 적절하게 비유하여 잘 사용하였지만 모수(毛遂)의 답변 또한 그 기운이 매우 날카롭다 하겠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석혼효  (0) 2023.08.31
물망재거 [勿忘在莒]  (0) 2023.07.26
사불급설 [ 駟不及舌 ]  (0) 2023.07.13
성공자퇴  (3) 2023.06.08
곡학아세 (曲學阿世)  (0)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