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사성어

동병상련

728x90

동병상련 (한 가지 동, 병 병, 서로 상, 불쌍히 여길 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끼리 서로 동정하고 돕는다는 말이다.

B.C 515년에 나라의 太子 光은 자객 전저(專儲)를 보내어 사촌 동생인 吳王 ()를 죽이고 자신이 왕위에 올랐으니 그가 바로 합려(闔慮)이다. ()를 죽인 자객 전저(專儲)를 합려에게 천거한 사람은 나라에서 망명해 온 오자서(伍子胥)라는 자로, 그는 그 공로로 大夫(중국에서 벼슬아치를 세 등급으로 나눈 품계의 하나. 주나라 때에는 경()의 아래 사()의 위였다.)로 임명되었다.

 

오자서는 나라 平王太子( ‘황태자의 준말) ()太傅(동궁에 속하여 왕세자의 교육을 맡아보던 종일품 벼슬)인 오사(伍奢)의 아들이었는데, 태자의 소부(少傅: 삼고(三孤)의 하나로 소사(少師소보(少保)와 더불어 삼공(三公)을 보좌함)인 비무기(費無忌)의 참언(거짓으로 꾸며서 남을 참소함. 또는 그런 말)으로, 아버지인 오사와 형인 오상이 죽임을 당하자, 복수의 귀신으로 화하여 나라로 망명해왔다. 그가 吳王 햡려인 太子 光 에게 자객 전저를 천거한 것도, 太子 光을 유능한 인물로 보고 그의 힘을 빌려 나라에 대한 복수를 하려는 데 있었다.

 

太子 光吳王에 즉위하자 오자서가 大夫로 벼슬을 하게 되었는데, 그 해에 나라로부터 또 한 사람의 망명객이 그를 찾아왔다. 나라의 좌윤(左尹: 삼사(三司)의 종삼품 벼슬) 인 백주려(伯州犁)의 아들 백희(佰喜)였다. 그도 역시 아버지 아버지가 비무기의 참언에 의하여 죽음을 당하자, 오자서를 의지하여 나라로 망명해 온 것이었다.

오자서는 그를 벼슬에 추천하여 함께 나라의 정치를 펼쳐 나가게 되었다.

 

이때에, 같은 大夫인 피리(被離)가 오자서에게 물었다.

당신은 어찌해서 저 백희를 한 번 만나보고서 그리 믿을 수 있는 것입니까?

그것은 그와 내가 같은 원한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오.

 

그리고는 즉석에서 다음과 같은 를 지어 낭독했다.

같은 병에는 서로 불쌍히 여겨, 한 가지로 근심하고 서로 구하네. 놀라서 날아오는 새는, 서로 따르면서 날으고, 살살 흐르는 아래의 물은 서로 이웃하여 함께 흐르네.

 

이렇게 하여 동병상련이란 말이 유래 된 것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백편의자현 [讀書百遍義自見]  (0) 2023.04.26
사면초가 (四面楚歌)  (0) 2023.04.22
미불유초 선극유종  (1) 2023.04.12
관인대도  (0) 2023.03.20
구시화지문  (0) 2023.03.15